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법문

[나의 부처님] 인과를 믿고 두려워하라(1), 무여스님/오늘의 법문에서

 

[나의 부처님] 인과를 믿고 두려워하라(1), 무여스님/오늘의 법문에서

 

 

[나의 부처님] 인과를 믿고 두려워하라(1), 무여스님/오늘의 법문에서

 

인과를 믿고 두려워하라(1), 무여스님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인과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인과(因果)를 알아라', '인과를 두려워하라', '인과응보를 믿지 않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다' 등 인과라는 말을 깊이 새겨서 부끄럽지 않고 후회 없는 인생이 되게 하시기 바랍니다.

 

인과는 원인과 결과를 말합니다.

어떠한 사물이나 일에도 일어난 원인이 있으며, 그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깁니다.

즉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고, 결과가 있으면 반드시 그 원인이 있다고 하는 것이 인과의 이치입니다.

사람의 행위에 따라 좋은 업인(業因)을 뿌리면 반드시 좋은 열매가 맺어지고, 나쁜 업인에는 악의 과보가 따릅니다.

이것을 '선인선과(善因善果)', '악인악과(惡因惡果)'라고 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선인낙과(善因樂果)', '악인고과(惡因苦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속담에는,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나다'하였으며, '덕은 닦는 대로 가고 죄는 지은 대로 간다'고도 하고, '고운 일을 하면 고운 밥을 먹는다'고 하였습니다.

 

<화엄경>에 보면 문수보살이 보수보살에게 묻습니다.

"불자여, 사람은 독같이 흙, 물, 불기운, 바람기운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다 같이 나와 내 것이 없는 터인데, 어찌하여 사람은 어떤 사람은 괴로움을 받고, 어떤 사람은 즐거움을 받으며, 어떤 사람은 단정하고, 어떤 사람은 추악하며, 어떤 사람은 현세에서 과보를 받고, 어떤 사람은 후세에 가서야 과보를 받게 되는 것입니까?"

 

이에 보수보살은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

"그 행위를 따라서 과보의 차이가 생기는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맑은 거울이 그 대하는 사물의 모양에 따라 비추는 모습이 각기 다른 것과 같습니다. 업의 본성도 이와 같아 밭에 뿌려진 씨가 각기 스스로 느끼지 못하지만 저절로 싹을 틔우는 것과 같으며, 환술사가 네거리에서 여러 몸을 나타내는 것과도 같습니다"고 하였습니다.

 

 

또 <열반경>에 보면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선악의 보는 마치 그림자가 형체를 따르는 것과 같다. 그리하여 과거, 현재, 미래 삼세의 인과가 휘돌아 없어지는 일이 없으니 생을 헛되이 보낸다면 후회해도 소용없으리라"고 하였습니다.

 

인과를 부정하면 불자가 아닙니다.

인과를 부정하는 것은 자기 자신만을 그르치는 것이 아니라 남까지 악으로 끌고 가므로 큰 죄악을 범하게 되는 것입니다.

 

인과는 '인연업과(因緣業果)'를 줄인 말입니다.

인(因)은 원인 즉 씨앗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연(緣)은 연지(緣地) 곧 씨앗이 뿌려지는 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씨앗이라도 밭이 없으면 자랄 수가 없습니다.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토양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연입니다.

불가에서는 인연이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설법명안론>에는 '한 그루의 나무 그늘에 쉬고 한 하천의 물을 쓰는 것도 전생으로부터의 인연이다'고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속담에서는, '치맛자락만 스쳐도 보통 인연이 아니다' 하면서 인연의 소중함을 강조합니다.

씨앗이 촉이 트고 잘 자라려면 토양이 좋아야 하듯이 연줄이 좋아야 좋은 원인이 성숙하여 훌륭한 열매를 맺고 빛을 낼 수 있습니다.

모든 현상은 원인과 조건에 의해 상호관계를 가짐으로써 성립되는 것입니다.

그 어떤 현상도 독립적이며 자존적인 것은 없다는 것입니다.

여러분께서도 인연을 중시해서 사소한 인연도 예사롭게 여기지 마시고 굳게 맺어서 승화시켜 보시기 바랍니다.

 

업은 밭에 뿌린 씨앗이 결실을 볼 때까지 가꾸는 행위와 같습니다.

그 행위가 선이냐, 악이냐에 따라 선과가 될 수도 있고 악과가 되기도 합니다.

이렇게 인과 연과 업이 모아지면 결과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됩니다.

인과는 연과 업의 과정을 잘 거쳐야만 좋은 결과를 맺게 됩니다.

사람들은 인과 과만 따지지 연과 업은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는데, 과정이 옳아야 과도 제대로 갖출 수가 있습니다.

 

인과의 이치는 엄연해서 조금도 흩어지지 않는 것을 인과응보(因果應報)라고 합니다.

인과의 법칙은 어길 수 없습니다.

인과는 철칙입니다.(다음 주에 계속됩니다.)

 

인과를 믿고 두려워하라(1)/무여스님

 

 

[나의 부처님] 인과를 믿고 두려워하라(1), 무여스님/오늘의 법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