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법문

[나의 부처님] 낯 씻다가 코 만지기보다 쉽다/우롱스님/오늘의 법문


[나의 부처님] 낯 씻다가 코 만지기보다 쉽다/우롱스님/오늘의 법문


낯 씻다가 코 만지기보다 쉽다/우롱스님


우리가 경을 들여다보고 책을 읽고 법문을 듣는 것,

이 모든 것들이 어디까지나 ‘말’입니다.

‘불’이라고 하는 것은 모든 것을 태워버리는 작용을 하지만,

우리가 ‘불’!하며 외친다고 해서 말하는

사람의 혓바닥이 타는 것은 아닙니다.


이것처럼 우리가 지금까지 해 온 것은 ‘불’이라는 ‘말’입니다.

우리는 여태껏 불교공부를 한다고 하면서

‘불’이라는 말만 했지, 혓바닥이 타는 것을

체험하지는 못했습니다.

내 자신의 똘똘 뭉친 정성이 부족했기 때문에,

언제나 말에서 그치고 말뿐입니다.

그러나 세상에는 믿어지지 않는 일,

실제로 혓바닥이 불에 타는 일들이 종종 일어납니다.


수나라 말기에 중국 익주의 심본현 왕자리라는 동네에

성이 구씨인 선비가 있었습니다.

구씨 선비는 평소에 금강경을 즐겨 외워

깊은 이치를 터득했습니다.


어느 날 선비는 마을의 동쪽에 있는 들판에 서서,

하늘을 향해 손가락으로 글씨 쓰기를 멈추지 않았고,

이상하게 여긴 동네 사람들이 까닭을 물었습니다.


“선비 어른, 하늘을 향해 무엇을 쓰고 있습니까?”

“금강경을 쓰고 있노라.”

“왜요?”

“천상의 사람들이 이 경을 읽고 공경심을 내도록 하기 위함이야.”


하지만 동네 사람들은 어느 누구도 그 말씀을

이해하거나 믿지 않았습니다.

다만 그 뒤부터 비가와도 그 자리에는 비가

내리지 않았으므로, 들에 나갔던 사람들이

소나기를 만나면 그 자리에서 비를 피하곤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로부터 2~30년의 세월이 흐른 당나라

고조의 무덕연간(618~628)에, 인도에서 온 스님이

그 동네를 지나가다가 구씨 선비가 글씨를 썼던 곳에 이르러

끊임없이 절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스님, 거기에는 부처님도 없고 탑도 없는데,

무엇 때문에 공중을 향해 그토록 열심히 절을 합니까?“


동네 사람의 질문에 오히려 스님은 의아해하며 물었습니다.


“모두가 이 동네에 사시는 분들이시오.”

“그렇습니다.”

“그런데도 내가 절을 하는 까닭을 모르십니까?”“예, 왜 절을 하십니까?”

“이 자리에는 금강경이 쓰여 져 있어 언제나 천상사람들이

와서 공양을 올리고 예배를 올립니다. 그런데도 가장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이 그것을 모르다니 참으로 안타깝구려.

절대로 이 자리를 더럽히지도 않도록 하십시오.“


스님이 떠나간 뒤 동네 사람들은 그 자리에

깨끗한 정자를 지어 신성시 하였으며,

그 정자에 있으면 가끔씩 인간세상에서는 들을 수 없는

매우 아름다운 풍악소리가 들렸다고 합니다.

낯 씻다가 코 만지기보다 쉽다/우롱스님


[나의 부처님] 낯 씻다가 코 만지기보다 쉽다/우롱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