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여행] 야외 문화재 전시장이라할 수 있는 보은 법주사 국보 제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보은 가볼만한 곳
[보은여행] 야외 문화재 전시장이라할 수 있는 보은 법주사 국보 제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보은 가볼만한 곳
충북 보은 속리산 법주사.
법주사는 황금대불로 유명합니다만, 이 밖에도 국보와 보물이 많이 있습니다.
1962. 12. 20. 국보 제5호로 지정된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을 소개합니다.
이 석등은 법주사 팔상전 옆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석등을 받치고 있는 사자의 꼬리가 일부 잘려나가 안타깝기만 합니다.
그나마 이 상태로 잘 관리해서 더 이상 훼손되지 않고 후손들에게 길이길이 전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아래는 문화재청에서 가져온 자료입니다.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국보 제5호
법주사 대웅전과 팔상전 사이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으로, 사자를 조각한 석조물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으며 매우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다.
널따란 8각의 바닥 돌 위에 올려진 사자 조각은 두 마리가 서로 가슴을 맞대고 뒷발로 아래 돌을 디디고 서서 앞발과 주둥이로는 윗돌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아랫돌과 윗돌에는 각각 연꽃을 새겨 두었는데, 윗돌에 두 줄로 돌려진 연꽃무늬는 예스러운 멋을 풍기며, 현재 남아있는 사자조각들 가운데 가장 뛰어나 머리의 갈기, 다리와 몸의 근육까지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은 8각으로 높직하며, 네 곳에 창을 내어 불빛이 새어나오도록 하였다. 지붕돌은 처마밑이 수평을 이루다가 여덟 귀퉁이에서 위로 살짝 들려 있는데, 꾸밈을 두지 않아서인지 소박하고 안정되어 보인다.
석등을 세운 시기는 통일시라 성덕왕 19년(720)으로 추측되며, 조금 큰 듯한 지붕돌이 넓적한 바닥돌과 알맞은 비례를 이루어 장중한 품격이 넘친다. 통일신라의 석등이 8각 기둥을 주로 사용하던 것에 비해 두 마리의 사자가 이를 대신하고 있어 당시로서는 상당히 획기적인 시도였을 것으로 보이며, 통일신라는 물론 후대에 가서도 이를 모방하는 작품이 나타났다. 같은 절 안에 있는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보물 제15호)과 함께 통일신라 석등을 대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등(燈)은 불타(佛陀)의 가피(加被)로 명랑(明朗)한 생활을 하며 여러 가지의 재앙(災殃)(불교(佛敎)에서의 8난(八難))을 예방하기 위하여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 석조(石造) 유물(遺物)에 사자를 이용한 것은 삼국시대(三國時代) 이래(以來) 많은 예를 볼 수 있으나 현존하는 석탑·석등에 설치된 사자 중 법주사 석등의 사자 조각은 가장 뛰어난 수법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석등의 간주석(竿柱石)을 석사자(石獅子)로 대치한 이 석등은 전형양식(典型樣式)에서 벗어난 것으로 8각의 지대석(地臺石) 위의 하대연화석(下臺蓮華石)과 쌍사자, 연화상대석을 모두 하나의 돌로 조각한 것이다. 다른 석등에 비해 화사석(火舍石)과 옥개석(屋蓋石)이 큰 것이 특징이다.
[보은여행] 야외 문화재 전시장이라할 수 있는 보은 법주사 국보 제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보은 가볼만한 곳
댓글을 달아 주세요
보은사의 쌍사자석 잘보고 갑니다^^
보은사에 다녀오셨군요~~ 문화재를 통해 역사를 알 수 있어 좋은 것 같아요
보은사 쌍사자석등 덕분에잘알아가요~
아이들 교육에도 좋은 곳이네요^^
보은사 한번 가볼만 한곳 이네요 ㅎ
잘보고갑니다 ~~
보은사 정말 가볼만한곳이네요 ㅎ
시간나면 가봐야 겠습니다 ㅎㅎ
문화재를 소중히 여깁시다~
보은 법주사는 못가봤는데,
덕분에 잘보고 갑니다.
한번 가보고 싶은 곳이네여 좋은 여행지 소개 감사합니다.
덕분에 좋은곳 잘 보고 가네요 ㅎㅎ
여러번 다녀오면서도 쌍사자들은 주의깊게 보지 못했네요
즐거운 월요일 보내세요
나라는 조금 시끄럽지만요...ㅡ.ㅡ;;
훼손된 부분이 있어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보은 법주사는 저는 안가본데군요
훼손된 부분이 있다니 참 안타깝네요 에구...
상주사 석등, 단 하나에도 고래의 역사가 묻어나네요.... ^^ 잘 보고 갑니다.
우리 선조들의 예술혼이 느껴집니다.
행복하세요^^
법주사도 유명한 절이라 잘알려진 절이죠
등산을 목적으로 지나치기만 해도 절 입장료를 받는게 흠이죠
잘보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