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산사순례 27] 달성 비슬산 용연사에서 108배로 27번 째 염주 알을 꿰다/사찰여행/달성여행/달성 가볼만한 곳
용연사 삼층석탑과 극락전.
[108산사순례 27] 달성 비슬산 용연사에서 108배로 27번 째 염주 알을 꿰다/사찰여행/달성여행/달성 가볼만한 곳
사람이 만든 불상에서 해야만 꼭 기도인가... 널려 있는 것이 부처
<108산사순례기 21> 비슬산 용연사
지난해 10월부터 시작한 <108산사순례> 기도여행. 2006년말 현재 전국에는 약 22000개소의 사찰이 있다고 한다. <108산사순례> 기도여행은 전국에 소재한 108산사를 엄선하여 내년 말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지난 5일, 이른 아침. 매달 한 차례 방문하는 경산 갓바위에 올랐다가, 인근지역인 달성 용연사로 찾아가는 길이다. 그런데 드는 의문 하나가 있다. 대구·경북지역에 사찰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이번 연재 <108산사순례기>에 의한 전국 분포도를 보면, 108산사 중 경상지역이 37개소(34%)이며, 이 중 대구·경북지역이 28개소로 26%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로 2007년도 문화관광체육부에 등록된 전통사찰 930개소 중에서도, 대구·경북지역이 193개소(20.7%)로 압도적으로 많다.
울창한 숲과 계곡에 터를 잡은 연못, '용연지'를 지나면 나타나는 일주문이 특별나다. 보편적으로 일주문에 거는 현판은 절이 자리한 주산 이름과 절 이름을 병기하는데, 용연사는 '비슬산용연사자운문'이라 썼다. '자운'이란, '은혜가 구름처럼 널리 미침'이란 뜻인데, 이 절을 찾는 모든 사람들에게도 은혜가 내렸으면 하는 바람을 담지 않았을까. 다포식 팔작지붕을 한 이 문은 지붕과 공포가 기둥에 비해 엄청 크다.
문기둥 역시 보통 굵기를 넘어섬에도, 오랜 세월 동안 이들의 무게를 어떻게 이겨내며 참아 왔을까. 생명이 없는 것에도 생명을 불어 넣어, 그 어떤 의미와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면, 이것 역시 심오한 공부가 되리라. 그래서 '나'를 찾고, '깨우침'을 안다면, 그것보다 행복한 일은 없지 않을까. 도도한 여인이 머리를 고상스럽게 틀어 올린 궁중머리 모양을 한 일주문에서 한 동안 넋을 잃고 있었다.
천년 역사와 정취를 고스란히 간직한 용연사.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다. 914년(신라 선덕왕 3) 보양이 창건했다고 전한다. 1419년(조선 세종 1) 천일이 중건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고, 1603년(선조 36) 탄옥, 경천 등이 사명대사 유정의 명으로 중창한 기록이 있다. 1722년(경종 2)에는 대웅전과 종각을 수리하였는데, 당시 절 규모는 2백 칸이 넘었으며, 거주하는 승려도 500여 명에 달한 큰 사찰로 알려져 있다. 문화재로는 보물 제539호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과 대구광역시 시도유형문화재 제28호 '용연사 삼층석탑', 제41호 '용연사극락전'이 있다.
일주문을 지나니 갈림길이다. 왼쪽은 '비슬산용연사적멸보궁'으로, 오른쪽은 본 법당으로 가는 길. 천왕문 입구에서 목이 말라 물 한 모금 떠 마시려니 웬 악어 한 마리가 길을 막고 섰다. 사찰에 웬 악어가 나타났을까. 불법을 수호하고 화재로부터 사찰을 보호하기 위해, 코끼리나 용, 사자, 거북이 등이 조각되는 것은 흔히 볼 수 있었어도, 악어 조각상을 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극락전 앞에 둥지를 턴 동물 조각들도 남다르다. 삼층석탑 옆에 자리한 '거북이 등에 용머리를 한 이름 모를 조각상'과 계단 입구에 고개를 치켜들고 뭔가 갈구하는 듯한, 두꺼비상도 그렇다. 용연사의 이런 조각상들은 세세하게 관찰하지 않으면 그냥 지나쳐버리기 십상이다. 눈여겨 보면서 사찰여행의 묘미를 느꼈으면 좋겠다.
용연사에서만 볼 수 있는 동물 조각상들... 악어, 두꺼비, 거북이와 용이 한 몸인 동물상
극락전은 용연사의 중심법당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 단출한 맞배지붕 다포식 건물이다. 용연사의 전각들은 임진왜란 때 많이 불탔는데, 이 극락전은 1728년(영조 4)에 다시 지었다. 극락전은 주불로 아미타불을 모시는 것이 일반적인데, 여기에는 아미타불이 아닌 석가모니불과 협시불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모셔졌다. 후불탱화 역시 미타탱이 아닌 석가모니부처님을 상징하는 영산탱으로 장식하고 있다.
불전 내부는 우물마루 바닥을 깔고 내진고주를 세워 고주 사이를 후불벽으로 처리하여 불단을 꾸린 것이 눈에 띈다. 짧은 널을 가로로, 긴 널을 세로로 놓아 우물 '정'자 모양으로 짰다 하여 우물마루 또는 귀틀마루라 부른다.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 기후에 알맞는 마루 형태다. 어릴 적, 작은 집에 살았어도, 그 때 엉덩이를 부비며 지냈던 마룻바닥의 추억이 떠오름은 행복이리라.
부처님 앞에 경전을 펴고 엎드려 절을 올린다. 108배하는 내내 잡상은 끊이지 않고 머리를 맴돈다. 문득, 법정스님 말씀이 떠오른다.
"사람이 만든 불상 앞에 고개를 숙이고, 힘들어 하며 절 할 것이 아니다"라고. 그러면서, "집에 계신 부처님, 길에 널브러져 있는 괴로움을 안은 부처님께, 절하면서 시주하라고."
부끄럽고 혼란스럽다. 나는 누구를 위해, 무엇을 얻기 위해 기도하며 <108산사순례>를 하고 있는 것일까. 부처님께서는 사문에서 '생노병사'라는 네 가지 고통을 일찍 느끼면서 의문을 가졌고, 출가를 통해서 깨달음을 깨치셨다. 나는 무슨 고통과 어떤 괴로움을 느끼기에, 고행 아닌 고생을 마다하지 않는 여정을 끊지 못하고 있는가. 끊이지 않는 의문을 푸는 일은, 결국 나 자신이 풀어야 하는 과제라는 것만큼은 인지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힘들게 108기도를 마쳤다. 이날 또 하나의 염주 알을 추가하면서, 의문의 숙제를 푸는 기쁨을 맛보았다.
절 마당 뒷문으로 나서니 계곡이 나타난다. 오랜 가뭄 탓에 물이 마른지 오래인 듯하다. 청운교를 지나니 명부전이고, 그 옆으로는 외부인 출입금지 구역인 홍제문이 있다. 울창한 숲과 계곡 그리고 불성을 담은 다리 하나. 한 폭의 그림 같은 풍경은 실제 그림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날따라 화가들이 절 터 곳곳에 자리하여 그림 그리기에 열중이다. 붓으로 살짝 터치하는 손놀림은 하얀 종이에 점 하나를 찍어낸다.
점과 점은 선으로 변하고, 선은 사면팔방으로 퍼져 나가면서 다리와 집 한 채를 뚝딱 만든다. 불교에서 말하는 '시방삼세'가 그림 한 장에 그대로 반영됨을 보고 있다. 대구지역에서 활동하는 화가협회 회원들은 이날 영천사 곳곳에서 백지에 불심을 가득 담고 있었다.
용연사 석조계단, 우리나라 8대 적멸보궁 중 하나
영천사 석조계단. '계단'이란 '부처의 사리를 모신 곳으로, 승려들이 '계'를 수여하는 의식이 이루어지는 단'을 말한다. 신성한 곳으로 '금강계단'이라고도 한다. 영천사 석조계단은 보물 제539호로, 정확한 명칭은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이다. 통상 앞쪽에는 적멸보궁이라는 전각을 설치하는데, 이 전각에는 불상을 봉안하지 않는다. 이는 금강계단에 모셔져 있는 사리가 예배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각 뒤 문을 만들어 금강계단을 바라보게 하고, 법당 안에서 기도를 올리는 것이 상례다. 영천사 석조계단은 널찍한 2중 기단 위에 꼭 종 모양을 닮은 탑 몸돌을 올렸다. 아래층 기단의 각 모서리에는 사천왕상으로 모셔 사방을 수호하게 했다. 위층 기단의 각 면에는 팔부신장상으로 돋을새김하여 단조로움을 덜었다. 절 안에 세워진 석가여래비에는, 석가의 사리를 모시고 이 계단을 쌓았다는 내용이 기록돼 있는데, 조선 광해군 5년(1613)에 완성됐다고 전한다. 17세기 초 당시의 석조건축과 조각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라 평가받고 있다.
용연사 적멸보궁은 우리나라 8대 보궁 중 하나로, "사명대사의 제자 청진스님이 임진왜란 때 왜적을 피해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통도사에서 금강산으로 모셔 가던 중, 사리 1과를 이곳 용연사에 봉안하였다"고 전해진다. 8대 보궁은, 봉정암(설악산), 통도사(영축산), 정암사(태백산), 월정사(오대산), 법흥사(사자산) 등 5대 적멸보궁에 이어, 건봉사(금강산), 도리사(태조산)와 함께 8대 보궁이라 한다. 적멸보궁을 돌아 나오는 길은 옆쪽으로 난 곳을 택하면 부도군을 만날 수 있다. 탑에 새겨진 이름은 아직도 선명하게 남아 있다. 낙파대사, 원계대사, 인악대사, 동운대사 그리고 송파대사 등 이름을 밝힌 곳이 5기이고 이름을 알 수 없는 2기도 있다.
간혹 불자들에게 '형식에 얽매이지 마라'며, 잘라 말하기도 한다. "절에 열심히 다니고, 불상 앞에 지극정성으로 기도하는 것"이 형식적인 의미라는 것. 그럼에도 나 자신이 형식에 얽매여 있음을 알아차린다. 부처는 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이 부처요, 이웃이 부처라는 것을. 비슬산 용연사에서 염주 알 하나를 추가하여 27번 째 염주 알을 꿰었다. 이 염주 알에는 '혼돈'의 가르침을 담을 수 있었다.
『108산사순례 27』
(1)양산 통도사 → (2)합천 해인사(483.8km) → (3)순천 송광사(367.8km) → (4)경산 선본사 갓바위(448.4km) → (5)완주 송광사(220. 2km) → (6)김제 금산사(279.2km) → (7)여수 향일암(183.4km) → (8)여수 흥국사(192.3km) → (9)양산 내원사(100.3km) → (10)부산 범어사(126.6km) → (11)구례 연곡사(156.8km) → (12)구례 화엄사(25.1km) → (13)구례 천은사(192.5km) → (14)김천 청암사(204.9km) → (15)김천 직지사(270.7km) → (16)영천 은해사(184.0km) → (17)영천 거조암(220.5km) → (18)보은 법주사(289.1km) → (19)영동 영국사(301.0km) → (20)영천 수도사(378.6km) → (21)남해 보리암(122.9km) → (22)고성 옥천사(144.4km) → (23)울주 석남사(121.6km) → (24)밀양 표충사(156.0km) → (25)하동 쌍계사(153.6km) → (26)남원 실상사(233.7km) → (27)달성 용연사(334.8km)
☞ 총 누적거리 5,892.2km
[108산사순례 27] 달성 비슬산 용연사에서 108배로 27번 째 염주 알을 꿰다/사찰여행/달성여행/달성 가볼만한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