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법문

[나의 부처님] 자작자수(自作自受), 서옹스님/오늘의 법문

 

[나의 부처님] 자작자수(自作自受), 서옹스님/오늘의 법문


 

[나의 부처님] 자작자수(自作自受), 서옹스님/오늘의 법문

 

자작자수(自作自受)/ 서옹스님

 

콩을 심으면 콩이 나고  팥을 심으면 팥이 납니다.

콩을 심어서 팥이 나기를 바란다는 것은 어리석은 자의 농입니다.

선행을 닦으면 선과(善果)를 얻고 악행을 하면 악과(惡果)가 나타납니다.

하루 놀면 하루를 굶습니다.

날마다 노력해 기아를 면해야 합니다.

육신의 기아만이 아닙니다.

정신의 기아를 면하는 선행을 닦아야 합니다.

 

스스로 지은 바를 스스로가 받는다는 것은 인과응보(因果應報)의 법칙입니다.

사람은 착하게 살아야 합니다.

남을 도와주고 잘못을 용서하고 또는 지도편달도 해야 합니다.

선행을 방해해서도, 도의심을 파괴해서도 안 됩니다.

 

남을 도와주는 것이 당장에는 남만을 위하는 것 같지만 결국은 나 자신을 위함이 됩니다.

자신을 위함은 곧 국가와 민족을 위함이요, 나아가 인류사회를 위함이 됩니다.

 

근소한 악이라 하여 죄가 없다고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선악의 과보는 대소를 막론하고 죽은 뒤에까지 반드시 그 대가를 받게 마련입니다.

 

설산에서 침식을 잊고 수행정진에 몰두했던 구담사문(沙門)은 문득 '재행무상 시생멸법(諸行無常 是生滅法)'이란 법구 반절을 들었습니다.

그 법구는 나찰귀(那刹鬼)의 소리였습니다.

사문은 나찰에게 다음 구절을 알려 달라고 간청했습니다.

그러자 나찰은 배가 고프니 사문의 몸을 달라는 것이었습니다.

사문은 '참된 나'를 얻기 위하여 '거짓 나'의 애착을 버릴 것을 결심했습니다.

그래서 나찰의 요구를 수락하고 다시 '생멸멸이 적멸위락(生滅滅已 寂滅爲樂)'이라는 나머지 구절을 들었습니다.

나찰귀의 법구에서 구경의 진리를 터득한 사문은 기꺼이 일신을 나찰에게 던졌습니다.

그 순간 나찰은 제석천(帝釋天)으로 화하여 사문을 받들어 모셨습니다.

 

이것은 석가세존이 성불하시기까지 육도만행(六度萬行)을 닦은 인행입니다.

이 같은 적극적인 선인(善因)은 적극적인 선과(善果)를 얻습니다.

 

오늘날 사회의 현실은 착하고 어짊보다도 악하고 교활함이 더 극성을 부리고 양심과 도의는 점차 메말라 가고만 있습니다.

그럼 과보란 법칙도 이제 없어졌느냐?

결코 그런 것은 아닙니다.

 

업인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즉 현수(現受, 이 몸으로 과보를 받는 것)와 생수(生受, 다음 세상에 과보를 받는 것), 그리고 후수(後受, 그 다음 세상인 후생에 언제든지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이 세 가지 가운데 낱낱에 다 정(定, 결정코 과보를 끄는 것)과 부정(不定, 언제든지 받게 되는 것)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장 오늘 나타나지 않는다 하여 내일의 인과응보가 없을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훌륭한 일을 적극적으로 하면 훌륭한 역사를 창조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자작자수/ 서옹스님


[나의 부처님] 자작자수(自作自受)서옹스님/오늘의 법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