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이야기

[공양예절] 경산 선본사 공양간에서 공양하며 일어나는 생각/갓바위

 

[공양예절] 경산 선본사 공양간에서 공양하며 일어나는 생각/갓바위

 

경산 선본사 공양간인데, '선본사'라는 현액을 달고 있습니다.

 

[공양예절] 경산 선본사 공양간에서 공양하며 일어나는 생각/갓바위

 

불교에서 말하는 공양이란?

 

'공양'이란, '불교에서 시주할 물건을 올리는 의식'을 말하는 것으로,

불법승 삼보에 대해서 공경하는 마음으로 공물을 올립니다.

일반적으로 부처님께 공양하는 것을 불공, 부모님께 공양하는 것을 부모공, 스승에게 공양하는 것을 사공이라고 합니다.

이 밖에도 공양은 다른 뜻도 있습니다.

오늘 말하려는 '공양'은 '절에서 음식을 먹는 일'이란 뜻을 가진 '공양'을 말합니다.

 

지난 달 30일인 토요일.

팔공산 갓바위에 올랐다가 내려오는 길에 선본사에 들렀습니다.

때가 마침 점심시간이라, 공양을 하러 '선본사'라는 현액이 걸린 공양간을 찾았습니다.

널찍한 내부 식탁에는 군데군데 자리를 한 불자들이 식사를 하고 있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사찰 음식이란 밥과 국물 그리고 간단한 반찬 두어 가지가 전부입니다.

소찬이지만 부처님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공양을 하는 것이 불자의 마음이리라 생각합니다.

저도 밥그릇에 담긴 반찬에 먹을 만큼 밥을 얹고, 고추장을 넣은 후 식탁으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문제는 이때부터 생겼으며, 밥을 먹는 내내 심기가 불편했습니다.

그 문제라는 것은, '공양예절'을 모르는 사람 때문에 생긴 것입니다.

 

 

 

50~60대 사이로 보이는 보살님 네 분이 앉은 식탁.

70대 이상으로 보이는 보살님 두 분이 앉은 식탁에서 대화하는 소리가 끝이 없습니다.

그것도 소곤거리는 정도를 넘어, 아예 대놓고 잡담할 정도로 목소리가 컸습니다.

몇 번이나 말을 하려다가, '내가 참으면 되지'라며 인내하였습니다.

아마, 큰 스님이 계셨으면 죽비를 내리치고야 말았을 것입니다.

 

또 하나는 아이를 데리고 온 어른들의 태도입니다.

아이가 시끄럽게 굴어도, 쿵쾅거리며 함부로 다녀도, 식탁에 '꽝'하고 밥그릇을 내려놓아도,

부모 어느 한 쪽이 아이의 행동을 타이르거나 제지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 모습 또한 지켜보면서 그냥 참을 수밖에 없었던 안타까움이 있었습니다.

 

 

 

 

밖으로 나와 나눈 대화가 씁쓸하기만 합니다.

 

"조용한 절간에서 식사할 때만이라도 말없이 식사하면 안 될까? 벽에는 '침묵'이라고 쓴 종이가 몇 장이나 붙어 있던데."

"아마, 한글을 모르겠지."

 

 

이런 계기로 '공양예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공양예절

 

오신채란?

. 불교에서 금하는 다섯 가지 음식물로 마늘, 파, 부추, 달래, 흥거(= 무릇, 주로 중국에서 나는 향신료의 일종)를 말함.

 

1. 공양이란?

. 절에서 하는 식사를 공양이라 하며, 절에서 마련한 음식을 먹을 때에는 감사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

 

2. 공양예절

. 공양 종소리나 목탁 소리 즉시 공양간으로 간다.

. 공양물을 받고 합장 반배하고 공양을 한다.

. 음식을 고루 덜어 먹도록 한다.

. 음식을 먹을 때 웃고 떠들지 않는다.

. 앉은 자리에서 음식을 다 먹어야 하고, 자리를 옮기면 안 된다.

. 자기가 먹은 그릇은 자기가 깨끗이 치운다.

 

3. 발우공양

. 발우공양은 불교의 전통으로 대중이 동시에 공양하거나 수련 및 수행할 때 쓰인다.

. 발우공양은 부처님과 음식에 감사하며, 중생의 고통을 생각하여 회향하겠다는 의미다.

. 발우공양의 정신은 평등, 청결, 절약, 공동체, 복덕 공양을 말한다.

 

4. 공양계

. 이 음식이 어디서 왔는고 내 덕행으로 받기 부끄럽네, 몸과 마음의 온갖 욕심 버리고 육신을 치료하는 약으로 알아 도업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

 

<불교TV BTN, 제11강 공양예절에서>

 

 

 

[공양예절] 경산 선본사 공양간에서 공양하며 일어나는 생각/갓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