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이야기

아픈 역사도 잊지 말아야 한다/ [리뷰] 영화 <귀향>, 분노를 일깨우다


아픈 역사도 잊지 말아야 한다

[리뷰] 영화 <귀향>, 분노를 일깨우다


영화 '귀향' 포스터.


아픈 역사도 잊지 말아야 한다

[리뷰] 영화 <귀향>, 분노를 일깨우다

 

"내가, 내가. 그 미친년이다. 우짤래."


굵은 빗줄기가 눈에 정통으로 꽂혔다. 빗물은 눈물로 바뀌어 얼굴을 타고 흐른다. 물기는 이내 입술에 와 닿았다. 짜고 쌉쌀하다. 옆 자리 관객으로부터 나오는 긴 한숨 소리. 그도 흐느껴 우는 것이 확실했다. 손이 눈으로 가는 것을 느낌으로 알았다. 나도 심장이 떨려 입술을 깨물었고, 손가락을 꼬집어야만 했다. 울분을 참을 수 없었고, 분노를 억누를 수 없었다.


영옥(손숙 분)은 '정신대 신고전화'가 개설됐다는 소식을 듣고 면사무소를 찾아간다. 면사무소에 켜진 TV에서도 정신대 관련 소식은 민원실 공간 구석까지 파고든다. '신고를 할까, 말까' 망설이는 영옥. 면사무소 직원으로부터, "뭘 도와드릴까요?"라는 물음에도 혼이 빠져 정신이 없는 영옥이다. 이때 영옥의 발걸음을 돌리게 하는 한 마디.


"미치지 않고서야 누가 그런 과거를 밝혀. 안 그래?"


면사무소 직원끼리 속닥거리는 소리에 영옥의 얼굴은 일그러진다. 분노로 가득한 얼굴에 목소리는 비명에 가깝다. '미친년'이라 내 뱉는 한 마디는, 자신을 학대하기 보다는 사회에 대한 원망이자, 이 아픔을 함께 공유하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절규로 들렸다. 나를 향한 처절한 몸부림의 표현이었다.


영화 '귀향' 관람객이 267만(2016. 3. 7. 기준, 영화진흥위원회 제공)을 넘어섰다. 개봉 12일만의 대 기록이다. 블록버스터로 제작된 영화는 아니지만 관객의 반응은 뜨겁기만 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식을 줄 모른 채 활활 타오른다. 급기야 그 열기는 국경을 넘어 해외시장까지 번졌다.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대만 등에서 한인 단체와 대학을 중심으로 상영 문의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미국, 캐나다, 영국은 개봉 예정으로 구체적인 시기와 상영관 수를 조율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작은 영화가 만들어 낸 큰 울림


그렇다면 영화 '귀향'이 왜 이토록 관객의 뜨거운 반응을 얻는 것일까. 어떤 이는, "최근 한일 정부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졸속 협상 타결로 인한, 좌절과 분노가 집단으로 나타나 영화를 보게 됐다"고 말한다. 또 다른 어떤 이는, "과거 숨길 수 없는 아픈 역사에 대한 자성으로 사람들을 영화관으로 불러 모으는 계기가 되었다"고 말한다. 어찌 보면 모두 맞는 말인지도 모를 일이다. 그럼에도 영화관으로 나의 발길을 옮기게 한 것은, 이러한 영화 평론 때문이 아니라, 그 이유는 다른 데 있었다. 


귀향은 '위안부' 피해자 봉사활동에서 시작돼 14년의 제작기간을 거친다. 2002년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인 '나눔의 집'에서 봉사활동을 시작한 조정래 감독의 진심 프로젝트가 통해서일까. 연기파 배우 손숙, 오지혜, 정인기와 재일교포 배우들의 순수 재능기부 출연으로 확정된다. 전국의 산하를 누비고, 세계로 항해할 배의 선장과 선원은 확보한 셈. 하지만 배와 그 배를 움직일 사람만 있으면 무엇 하랴. 돛을 달아야 하고, 바람이 불어 주어야만 배는 항구를 떠나는 법. 여기에 또 하나의 힘이 보태진다. 역대 최고를 기록한 75,270명의 크라우디 펀딩. 이 두 가지가 영화 '귀향'을 끄는 쌍두마차라고 말하고 싶은 것이 나의 솔직한 심정이다.


더 중요한 것은 영화를 본 후 받은 느낌이라 말할 수 있다. 나는 영화를 거의 관람하지 않는다. 한국영화를 본 것 중 정확하게 기억하는 영화로는 '변호인'과 '밀양' 등 몇 편이 고작이다. 최근 이런 핀잔도 들어야만 했다. "아이고! 아주, 나이 어린 아이와 할배 할매들 빼고는, 국민 거의 다 본 영화를 어째 보지 안했냐고?" 그렇다. 영화 '국제시장'은 역대 누적관객 수 2위를 기록한 영화답게 큰 인기를 끌었다. 그래서 영화관에서 못 본 영화를 TV에서 볼 기회가 생겨 큰 맘 먹고 보았다. 그런데 호기심은 30분을 넘기지 못하고 채널을 다른 데로 돌려야만 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재미가 없었기 때문이다.


영화 '귀향'은 해방 전인 1943년에서부터 시작한다. 넉넉하지 못한 시골 살림살이지만, 정민(강하나 분)은 아버지(정인기 분)의 절대적인 사랑을 받으며 자란다. 대신 어머니(오지혜 분)로부터는 엄한 교육 속에 성장해 간다. 이때 마을에는 흉흉한 소문이 돌고, 급기야 정민은 영문도 모른 채 일본군에 이끌려 사랑스런 가족의 품을 떠난다. 떠나는 딸에게 어머니는 흐느끼면서 부적을 쥐어주며 신신당부를 한다. 


"내말 단디 들으래이. ... 울지 말고. ... 진짜로 급할 때, 이 보여 주면서 거창 땅 한데기골로 데려다 주세요. 그케라. 알았나."


정민도 흐느끼면서, "거창 땅 한데기골로 데려다 주세요."라며 어머니가 말 한데로 머릿속에 기억을 심는다. 또래 소녀들과 기차에 몸을 실은 정민은 알 수 없는 공포의 땅으로 향한다. 


분노를 일깨우다


제2차 세계대전은 참혹했다. 군인은 물론이고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됐다. 일본군은 군인들만 상대로 한 전쟁이 아니라, 민간인도 징집하여 전쟁을 치렀다. 그것도 모자라 나이 어린 소녀들까지 강제로 끌어가 그들의 욕망을 채웠다. 대놓고 저질러지는 강간도 모자라, 총살도 서슴지 않았다. 무자비한 폭행, 억압을 통한 공포, 무차별하게 벌어지는 처참한 살육. 영화 속 공포로 가득 채워지는 장면은, 실제 상황이 더했으면 더했지 결코 과장이 아니었다. 피할 수 없는 지옥 같은 상황에서 소녀들은 무엇을 할 수 있었을까. 


영화의 장면마다 분노가 일었다. 슬픔의 눈물이 흘렀고, 힘겨운 싸움에 슬픈 마음으로 대신하는 것은 도움이 될 수 없었다. 무기력 그 자체였다. 약 두 시간 동안 이어지는 이야기의 중심은 화면이 아니라 화면 속에 녹아 든 진솔한 삶 그 자체였다. 영화를 보는 내내 심장이 떨렸고, 찡한 느낌이 육신을 떠나지 않았다. 나의 어머니이자, 나의 누이요, 나의 여자 친구였던 청순했던 열다섯 소녀 정민이. 정민이는 옛 어린 시절의 모든 기억을 되돌려 놓았고, 한편으로 모든 기억을 지워버렸다. 


"언니야! 이제 집에 가자."


영화 '귀향'은 아리랑과 함께 진하고 진한 애잔한 소리를 띄워 막을 내린다. 나비 한 마리가 허공을 가른다. 이내 나비는 수십 마리로 나타나 화면 전체를 가득 채운다. 끊어질듯 끊어지지 않은 아리랑은 영화를 보는 관객들의 눈물샘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두물머리 백 년 넘은 나무에 걸린 소망지에 굿 소리는 잠시 휴식을 취한다. 휘날리는 소맷자락 움직임은, 가슴 찢어지는 떨림으로 하늘로, 허공으로, 가로지른다.


인간은 어떤 상황에서라도 존엄한 가치는 존중받아야함은 물론이다. 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 가슴 찢어지는 슬픔을 느꼈다. 분노를 알았고, 어떨 때 분노를 느껴야하고, 표출할지를 알았다. 또 하나 분명한 것은, '기억해야 할 역사적 사실'이라는 것을 영화를 통해서 알았다. 역사에서, 우리의 기억에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면, 아픈 진실이지만 숨길 수 없는 역사의 현실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아픈 역사도 잊지 말아야 한다

[리뷰] 영화 <귀향>, 분노를 일깨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