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법문 썸네일형 리스트형 [나의 부처님] 한 송이 꽃이 피어나면.../ 법정스님 [나의 부처님] 한 송이 꽃이 피어나면.../ 법정스님 설악산 신흥사.(2007. 10. 31.) 한 송이 꽃이 피어나면.../ 법정스님 한 마음이 청정하면 온 법계가 청정해진다는 교훈이 있다. 한 송이 꽃이 피어나면 수 천 수만 송이의 꽃이 피어난다는 가르침이 있다. 이것을 추상적이라고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집안에서 그 집 어머니나 아버지 또는 자식, 한 사람의 마음이 지극히 청정하면 메아리가 되어 모든 식구가 변화한다. 그러나 가정의 중심인 어머니의 마음이 불안하다고 해 보라. 그냥 아버지한테 불안이 전달되고, 바로 자식들에게도 옮겨진다. 왜냐하면 우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 뿌리에서 나누어진 가지들이기 때문이다. 어느 한 쪽 가지에 이상이 생기면 나무 전체에 이상이 생긴다. 한 송이 .. 더보기 [나의 부처님] 그는 누구인가?/ 법정스님/ 오늘의 법문 [나의 부처님] 그는 누구인가?/ 법정스님/ 오늘의 법문 서울 봉은사. 그는 누구인가?/ 법정스님 1. 내 뒤에서 언제나 나를 지켜보는 눈이 있다. 시작도 끝도 없는 아득한 세월을 두고 밤이나 낮이나 나를 낱낱이 지켜보는 눈이 있다. 그는 누구인가? 언어의 틀에 갇히지 말고, 그가 누구인지 깊이깊이 살펴보라. 나를 지켜보는 그와 떨어져 있지 말고 그와 하나가 되라. 그러면 삶이 매 순간 새로워질 것이다. 2. 무심코 하는 말이든 뜻을 담은 말이든 듣는 귀가 바로 곁에 있다. 그것을 신이라 이름 부를 수도 있고, 영혼이라 부를 수도 있고, 불성이라 할 수도 있다. 그 사람이 하는 말은 곧 그 사람의 속 뜰을 열어 보임이다. 일상에 때 묻고 닮은 자기 자신을 그 어느 때 그 무엇으로 회복할 것인가. 입 다물.. 더보기 [나의 부처님] 보리심을 내는 일/ 열반경/ 오늘의 법문 [나의 부처님] 보리심을 내는 일/ 열반경/ 오늘의 법문 화살나무 열매가 붉게 물들었다.(2018. 11. 16. 죽풍원에서) 보리심을 내는 일/ 열반경 사자후 보살이 부처님께 물었다. “부처님, 만약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있다면 어째서 모두 성불하지 못했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것은 인연이 화합되지 않았기 때문이오. 그러나 끝내 못 이루는 것이 아니라 늦게 얻는 것이오. 인과 연이 화합되어야 결과를 이루는 것이오. 인성은 불성이고 연은 보리심을 내는 일이오. 보살이 다음과 같은 일을 하면 보살심에서 물러나게 되오. 믿지 않고, 짓지 않고, 의심하고, 몸과 재물을 아끼고, 열반을 두려워하고, 참지 못하고, 진실하지 못하고, 걱정 근심으로 모든 일을 즐기지 못하고, 게을러 도를 닦기를 힘쓰지 .. 더보기 [나의 부처님] 단 한 번의 기회, 단 한 번의 만남/ 법정스님/ 오늘의 법문 [나의 부처님] 단 한 번의 기회, 단 한 번의 만남/ 법정스님/ 오늘의 법문 용추사 일주문.(구.덕유산장수사조계문) 단 한 번의 기회, 단 한 번의 만남/ 법정스님 차(茶)의 세계에 일기일회(一期一會)란 말이 있다. 일생에 단 한 번 만나는 인연이란 뜻이다. 개인의 생애로 볼 때도 이 사람과 이 한때를 갖는 이것이 생애에서 단 한 번의 기회라고 여긴다면 순간순간을 뜻깊게 보내지 않을 수 없다. 앞으로 몇 번이고 만날 수 있다면 범속해 지기 쉽지만 이것이 처음이면서 마지막이라고 생각한다면 아무렇게나 스치고 지나칠 수 없다. 기회란 늘 있는 것이 아니다. 한 번 놓치면 다시 돌이키기 어렵다. 오늘 핀 꽃은 어제 핀 꽃이 아니다. 오늘의 나는 새로운 나이다. 묵은 시간에 갇혀 새로운 시간을 등지지 말라. 과.. 더보기 [나의 부처님] 마음의 흐름에 집중하라/ 법정스님/ 오늘의 법문 [나의 부처님] 마음의 흐름에 집중하라/ 법정스님/ 오늘의 법문 마음의 흐름에 집중하라/ 법정스님 마음의 흐름에 정신을 집중하라. 투명한 마음의 작용이 모든 것을 창조한다. 과잉소비사회와 포식사회가 인간을 멍들게 하고 우리 시대를 얼룩지게 만든다. 우리가 무엇인가를 원한다는 그 자체가 또 다른 소유욕임을 알아야 한다. 그는 말한다. “신으로부터 조차도 자유로워져야 할 만큼 자유롭게 해방된 상태를 참으로 가난하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구속과 속박이 없고 집착이 없는 ‘완전한 자유’라고 말한다. 모든 욕망과 집착에서 벗어나 어디에도 얽히거나 매이지 않고 안팎으로 홀가분하게 되었을 때, 사람은 비로소 전 우주와 하나가 될 수 있다. 개체에서 전체에 이르는 길이 여기에 있다.“ 마음의 흐름에 집중하라/ 법정스님 더보기 [나의 부처님] 분노를 끊으면 편안히 잘 수 있다/ 장곡스님/ 오늘의 법문 [나의 부처님] 분노를 끊으면 편안히 잘 수 있다/ 장곡스님/ 오늘의 법문 분노를 끊으면 편안히 잘 수 있다/ 장곡스님 분노를 끊으면 편안히 잘 수 있고 분노가 없어지면 걱정이 없다. 분노는 모든 독의 근본이다. 지혜로운 이는 분노를 없애고 편안함을 얻는 수행을 한다. 비유경에 분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옛날에 주인을 위해 보리와 콩을 삶는 일을 맡은 하녀가 있었다. 그런데 주인집 양이 기회를 틈타 보리와 콩을 훔쳐 먹었으므로, 하녀는 억울하게도 주인에게 욕을 먹곤 하였다. 어느 날 하녀가 양을 미워하여 때리곤 있을 때 양이 그녀를 들이받아 버렸다. 그녀는 극도로 화가나 불씨를 양의 등에 집어 던져버렸다. 등에 불이 붙은 양은 사방을 뛰어 다녔는데, 가는 곳마다 불이 붙어 불길이 마을과 산양에 번져.. 더보기 [나의 부처님] 욕심은 채워지지 않는다/ 사주경(四洲經)/ 오늘의 법문 [나의 부처님] 욕심은 채워지지 않는다/ 사주경(四洲經)/ 오늘의 법문 욕심은 채워지지 않는다/ 사주경(四洲經) 세상에는 자기의 욕심에 만족하는 사람은 아주 적고 욕심을 벗어나려고 애쓰는 사람도 흔하지 않다. 그저 욕심을 채우려고 애쓰다가 목숨을 마치는 사람이 많다. 설사 하늘에서 보물이 비처럼 쏟아지더라도 욕심 많은 사람은 만족할 줄 모른다. 자기 집 창고에 황금이 태산처럼 쌓였다 한들 욕심 많은 사람이 그것으로 만족할 수 있을까? 욕심은 채워지지 않는다/ 사주경(四洲經) 더보기 [나의 부처님] 깨달음이란 집착을 놓는 것/ 산공스님 [나의 부처님] 깨달음이란 집착을 놓는 것/ 산공스님 깨달음이란 집착을 놓는 것/ 산공스님 수행자로부터 깨달음에 대한 확답을 듣고자 하는 것은 속세의 비루한 질문이다. 깨달음은 무엇입니까? 스님은 깨달았습니까? 수행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염치를 접고 질문이 이어진다. 막막한 항해가 필요한 물음인 줄 뻔히 알면서 몰염치가 날개를 단다. 수행자의 책무는 속인의 나태를 대리만족 시켜주는 것이라는 억지마저 부려본다. “깨달음이란 집착과 분별심의 끈을 놓는 것입니다. 깨달음의 대상이 따로 있고 깨달음에 이르는 절묘한 비법이 어디 있겠소. 보고 듣고 느끼는 것이 다 깨달음이고 부처입니다. 다만 거기에 집착하지 않아야 합니다. 부처님께서도 ‘얻을 것이 없다는 것을 알고 나니 우주가 완성되고 얻어야겠다고 생각하니 모든.. 더보기 [나의 부처님] 사람은 원을 세우고 살아야 합니다/ 법정스님 [나의 부처님] 사람은 원을 세우고 살아야 합니다/ 법정스님 사람은 원을 세우고 살아야 합니다/ 법정스님 분수에 알맞은 곳에 살고 일찍이 공덕을 쌓고 바른 서원을 세우라. 이것이 더없는 행복이니라. [숫타니파타] 사람은 저마다 자기 몫이 있습니다. 남의 것을 가로채거나 남의 자리를 흉내 낼 수 없습니다. 그렇게 하면 자기 삶이 소멸 됩니다. 자기다운 삶을 살려면 먼저 자기에게 주어진 몫을 확실하게 알아야 합니다. 공덕이란 것은 물질적인 베풂만을 의미하는 게 아닙니다. 물질이 없어도 맑은 눈빛, 다정한 얼굴, 부드러운 말을 나눌 수 있습니다. 사람은 원을 세우고 살아야 합니다. 원은 삶의 지표와 같은 것입니다. 원이 강한 사람은 어떤 상황에서도 절망하지 않고 딛고 일어설 수가 있습니다. 원의 힘이 약하면 .. 더보기 [나의 부처님] 빈 배와 같은 자유인이 되라/ 대행스님/ 오늘의 법문 [나의 부처님] 빈 배와 같은 자유인이 되라/ 대행스님/ 오늘의 법문 빈 배와 같은 자유인이 되라/ 대행스님 대상을 높게 볼 것도 없고 낮게 볼 것도 없다. 훌륭하다 해서 훌륭한 게 아니고, 높다 해서 높은 게 아니며, 낮다 해서 낮은 게 아니니, 평등하게 보라. 대상을 내 몸과 같이 보라. 그것이 불심이다. 부처님이 지금 내 앞에 계신다 하더라도 높이 보지도 말 것이며 개미 새끼 한 마리, 풀 한 포기라도 업신여기지 말아야 한다. 벌레를 보고 징그럽다 하고, 똥을 보고 더럽다 하지만 그것은 다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상대를 보고 어떻다고 할 것이 아니라 그 형상, 그 마음이 둘이 아니니 주인공 자리에 계합시킬 수 있어야 한다. 높은 산 위에 올라서서 마음을 내려다보라. 그러면 크다 작다의 구..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