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찾기프로젝트

[농사일기] 귀농·귀촌인들의 실태조사를 통해 그들의 삶을 들여다본다/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18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내용’/죽풍원의 행복찾기프로젝트

 

귀촌 후 텃밭 가꾸기 준비 작업.

도시에 살다가 귀촌한 지 2년 반.

귀농이나 귀촌인들은 귀농 전과 귀농 후의 삶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3월 12일, ‘2018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기간은 2018년 10월부터 2019년 2월까지로, (주)한국갤럽에 의뢰한 면접조사(조사대상 가구 직접 방문 조사)로, 최근 5년간(‘13~’17), 귀농 1,257가구, 귀농 1,250가구 등 2,507가구를 대상으로 했다.

 

구체적인 결과는 아래 사항을 참고.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조사를 통해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했다.

주요내용으로서, 귀농·귀촌인의 교육 강화, 일자리 지원 강화, 기존 지역민간 융화교육 확대 등 추진사항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앞으로 귀농이나 귀촌을 계획하는 분들이 계시면 이 자료가 유용하지 않을까 싶다.

 

☞ 참고로 지난 2017년 기준 귀농․귀촌 통계를 살펴본다.

- 가구 기준 : 전체 346,759가구(귀농 12,630가구/3.6%, 귀촌 334,129가구/96.4%)

- 인구 기준 : 전체 516,817명(귀농 19,630명/3.8%, 귀촌 497,187명/96.2%)

 

지난 겨울, 귀촌 후 처음 시도해 본 곶감 농사.

■ 2018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내용

 

□ 귀농귀촌 유형

 

.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 : 귀농 53.0%, 귀촌 37.4%)

.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 : 귀농 19.2%, 귀촌 18.5%

.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 이주(귀농 17.9%, 귀촌 29.4%)

.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있는 농촌 이주(귀농 9.8%, 귀촌 14.8%)

 

□ 귀농귀촌 이유

 

❍ 귀농

. 자연환경 좋아서(26.1%), 농업 비전과 발전가능성(17.9%), 도시생활 회의(14.4%), 가족 등 가까이 살기 위해(10.4%), 본인․가족 건강(10.4%), 실직이나 사업 실패(5.6%)

- 특히, 40세 미만 청년층은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29.0%), 가업 승계(18.6%) 도시생활 회의(16.7%), 자연환경 좋아서(10.2%)

- 중장년층은 자연환경 좋아서(28.0%), 농업 비전과 발전가능성(16.6%), 도시생활 회의(14.1%), 본인· 가족 건강(10.8%)

 

❍ 귀촌

. 자연환경 좋아서(20.4%), 가족 등 가까이 살기 위해(16.4%), 정서적 여유(13.8%), 도시생활 회의(13.6%), 본인․가족의 건강(11.9%), 실직이나 사업 실패(7.8%)

- 청년층은 가족 등 가까이 살기 위해(22.5%), 정서적 여유(14.7%), 자연환경 좋아서(13.7%), 도시생활 회의(13.3%)

- 중장년층은 자연환경 좋아서(25.8%), 본인·가족 건강(14.9%), 도시생활 회의(13.9%), 정서적 여유(13.1%)

 

□ 귀농귀촌 만족도

 

. 귀농․귀촌 10가구 중

- 6가구(귀농 60.5%, 귀촌 63.8%)가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

- 3가구(32.5%, 33.0%)는 보통

- 1가구(7.0%, 3.2%)는 불만족

 

. 불만족 주요 이유

- 귀농은 자금부족(30.0%), 영농기술․경험부족(23.7%) 순으로,

- 귀촌은 영농기술․경험부족(53.0%), 자금부족(29.1%) 순으로,

 

고추 모종 심기.

□ 귀농 준비기간 : 귀농 준비에 평균 27.5개월로 사전 많은 준비기간 소요

 

□ 귀촌 후 농업 유입

 

. 귀촌 가구 19.7%가 귀촌이후 5년 이내에 농업에 종사

. 그 외 농업 경영체 등록(19.2%), 등록 없이 영농에 종사(0.5%)

. 귀촌 가구 농업경영체 등록 시기 : 2년차에 평균 78.3%, 3년차 10.8%, 4년차 7.0%, 5년차에 1.1%

 

□ 가구 소득

 

. 귀농 전 평균 가구소득 4,232만원

- 귀농 1년차 2,319만원 → 5년차 3,898만원까지 회복

- 귀농 5년차 평균소득(3,898만원)은 농가 평균소득(3,824만원)을 넘어서는 것

 

□ 주 작목 투자

 

. 선택 이유 : 재배 용이성(43.1%), 높은 소득(19.7), 주변 권유(14.6), 지역 특화작목(13.3)

. 재배면적 비중 : 과수(23.2%), 노지채소(19.2), 시설채소(14.9), 논벼(14.3), 특작·약용(9.8), 서류(6.1), 두류(4.4), 축산(2.5), 맥류(1.7), 화훼(1.7) 순임.

 

딸기 모종 심기.

□ 경제 활동

 

. 귀농 가구 43.1%가 농업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외의 경제활동을 수행

. 귀촌 가구 87.2%가 직장 취업, 자영업, 농업 등으로 경제활동을 수행

 

- 귀농가구 경제활동 : 농산물․가공식품 직접 판매(25.2%), 자영업(23.0), 직장취업(22.4), 임시직(14.8), 농업임금노동(10.4) 등

- 귀촌가구 경제활동 : 직장취업(39.8%), 자영업(21.9), 농업(19.7), 임시직(9.5) 등

 

. 귀농/귀촌 : 자영업(29.9%/18.0%), 사무직(22.6%/30.2%), 생산․기능직(19.5%/15.4%), 판매서비스직(8.3%/11.7%), 전문직(4.9%/7.7%), 노무직(4.8%/2.7%), 관리자(4.7%/5.8%)

 

. 귀농 가구의 농외 경제활동의 어려움 → 시간(22.9%)․능력(19.0)․정보(17.5)․자본(16.9) 부족을 꼽음

. 귀촌 가구는 경제활동의 어려움 → 정보(17.6%)․능력․(17.4)․지역내 인프라(15.7)․시간(11.8)․자본금(11.3) 부족 등

 

. 월 평균 생활비 : 귀농가구 196만원, 귀촌가구 213만원임

- 귀농/귀촌 : 식비(38.1%/36.8%), 주거·광열·수도·전기(24.6/18.4), 교육비(9.9/14.8), 교통통신비(9.6/7.7), 건강·의료소비(8.7/9.3), 문화·여가생활비(6.0/11.5)

 

지난 겨울 수확한 무.

□ 거주 여건

 

. 거주 지역 선택 이유 : 부모․친척이 살고 있는 연고지(귀농 43.8%, 귀촌 32.8%)가 가장 높고, 이전에 살던 곳 근처(귀농 17.8%, 귀촌 11.2%), 자연환경 우수(귀농 8.4%, 귀촌 14.6%) 등

. 거주 주택으로 농가주택을 포함한 단독주택(귀농 81.7%, 귀촌 59.6%)이 가장 많고, 아파트․연립주택(귀농 14.8%, 귀촌 37.6%) 순으로 조사

. 초기 주택 점유는 자가(귀농 73.4%, 귀촌 57.6%), 전월세(귀농 17.1%, 귀촌 37.4%), 지원 정책 활용(마을 내 빈집, 귀농인의 집 등 임시거주 : 귀농 5.9%, 귀촌 2.2%) 순

 

□ 귀농귀촌 교육

. 귀농가구 66.7%, 귀촌가의 27.8%가 온-오프라인, 선도농가 인턴쉽 등 교육 이수로 조사

. 특히, 5년차 된 ‘12년 귀농자 분석 결과, 오프라인 귀농 교육 경험자의 귀농 첫 해와 5년차 농업소득 증가폭(1,523만원)이 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귀농인(685만원)보다 훨씬 높게 조사, 귀농 교육이 농업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남

 

함양 행복찾기농원 블루베리 묘목 판매장.

□ 지역 융화

 

. 귀농․귀촌인들은 인간적인 교류, 영농기술․장비 도움, 마을일․모임 참여 활동 측면에서

-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다(귀농 76.9%, 귀촌 62.5%)고 응답한 비중이 높음

- 좋지도 나쁘지도 않음이 귀농 21.1%, 귀촌 35.8%를 차지

. 지역주민과의 관계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귀농 2.0%, 귀촌 1.7%로 나타남

. 응답자가 느끼는 주요 갈등요인은, 선입견과 텃세, 집이나 토지 문제,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충돌 등으로 조사

- 귀농 : 선입견과 텃세(43.3%), 집/토지(19.1%), 공동시설 이용(13.9%)

- 귀촌 : 선입견과 텃세(47.3%),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충돌(36.9%)

. 귀농․귀촌인들의 지역별로 지역민과 관계척도 조사결과

- 전남(5점 척도 기준 4.02), 전북(4.01) 순으로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남

- 관계가 좋은 지역일수록 지역주민·마을과의 관계만족도(도움태도, 소속감 등)와 지역 활동 참여도(마을회의 행사 등)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

. 귀농․귀촌인들이 참여하는 지역 활동으로 마을 회의․행사가 가장 많았으며(귀농 89.7%, 귀촌 72.7%) 지역단체, 귀농귀촌인 모임 등의 순

 

마늘과 배추 농사.

□ 확충필요 공공서비스

 

. 귀농․귀촌인들은 거주지에 확충되어야 하는 공공서비스로 문화․체육서비스를 가장 많이 꼽았고, . 취약계층 일자리, 임신․출산․양육지원, 노인돌봄서비스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귀농가구

- 문화․체육서비스(30.0%), 취약계층 일자리(17.1%), 노인돌봄서비스(15.8%), 교통서비스(12.0%)로 나타남

. 귀촌가구

- 문화․체육서비스(32.3%), 임신․출산․양육지원(16.5%), 노인돌봄서비스(13.7%), 취약계층 일자리(12.7%)로 나타남

 

<상기 자료는 지난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3월 12일 발표한 보도 자료를 인용하였다.>

 

블랙커런트와 고구마 농사.
귀촌 후 귀농귀촌 교육 수료증.

[농사일기] 귀농·귀촌인들의 실태조사를 통해 그들의 삶을 들여다본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18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내용’

/죽풍원의 행복찾기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