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여행] 역사와 사연을 안고 있는 함양의 정자, 동호정(경남 문화재자료 제381호)
/함양여행코스/함양가볼만한곳/함양 구로정/함양 농월정/ 함양 경모정/ 함양 군자정/ 함양 거연정
<!--[if !supportEmptyParas]--> <!--[endif]-->

경남 함양군 서하면에 자리한 동호정.
<!--[if !supportEmptyParas]--> <!--[endif]-->
경남 함양군 안의면과 서하면 일대는 역사가 깊은 수많은 정자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안의면 구로정에서 화림동 계곡을 따라, 농월정, 경모정, 동호정, 군자정 그리고 거연정까지 이어집니다.
정자는 저마다의 사연과 깊은 역사를 안고 있습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오늘은 동호정(東湖亭)을 찾아가 봅니다.
동호정은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81호로 지정돼 있으며, 경남 함양군 서하면 황산리 842번지에 위치해 있습니다.
동호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 안내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동호정 앞으로는 아름다운 계곡이 흐르는데, 화림동 계곡이라고 합니다.
계곡 중간에는 엄청나게 크고 넓은 너럭바위가 있는데, 수백 명이 앉아도 남을법한 큰 바위입니다.
계곡 건너편에는 아름다리 소나무가 하늘 높이 솟아 있어 숲에서 여름을 보내는 것은 신선놀음이라 할 정도입니다.
함양 동호정
<!--[if !supportEmptyParas]--> <!--[endif]-->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81호
함양군 서하면 황산리 842번지
<!--[if !supportEmptyParas]--> <!--[endif]-->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선조 임금의 의주몽진을 도와 공을 세운 동호 장만리 선생이 관직에서 물러난 뒤 이곳에서 유영하던 곳으로, 그 충성심을 기리기 위하여 그의 9대손 가선대부오위장을 지낸 장재헌 등이 중심이 되어 1890년 건립한 정자이며, 1936년에 중수가 있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동호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로 세워진 단동의 중층 누각건물이며 겹처마에 팔작지붕 형식이다. 동호정은 호반의 자연암반 위에 건립된 정자건물로서 화림동의 계곡의 정자 중 가장 크고 화려하며 그 아래 수정 같은 맑은 물이 흐르며 물 가운데 ‘차일암’이라는 너럭바위가 있어 수백 명이 들어설 수 있는 널찍한 암반으로 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정자 2층으로 오르는 나무계단이 정겨움이 넘쳐납니다.
일일이 손으로 나무를 깎아 만든 정성을 느낄 수 있어 좋습니다.
신발을 벗고 정자 마루에 올라섰습니다.
벽에는 작은 글씨로 빼꼭하게 쓴 편액이 걸려 있습니다.
상량문은 건축 시 마룻대를 올릴 때 건물과 관련한 기록을 적은 문서로서, 마룻대에 홈을 파 넣어 보관하거나, 동호정 상량문처럼 나무판에 글씨를 써 벽에 걸어두기도 합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천장에는 나무로 조각된 용 두 마리가 서로를 경계하며 응시하고 있습니다.
한 쪽의 용은 입에 여의주를 물었으며, 다른 한 쪽은 고기를 물었습니다.
화려한 단청이 돋보이며, 꼭 살아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게 합니다.
높은 누각 2층에서 아래로 보는 화림동 계곡과 계곡 중간에 너럭바위를 보노라면 시 한 수를 읊을 만도 한데, 시상이 떠오르지 않습니다.
핑계라도 댄다면, 날씨가 너무 더워 아름다운 화림동 계곡을 더 이상 감상할 수 없어 내려오기 바빴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시원한 강바람이 불어오는 가을에 다시 찾아 시 한 수를 꼭 지어볼까 합니다.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81호로 지정된 동호정.
함양여행코스로도 좋으며, 함양에서 가볼만한 여행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동 호 정
<!--[if !supportEmptyParas]--> <!--[endif]-->
조선 선조 때의 학자이신 동호 장만리(東湖 章萬里)공께서는 함양군 서하면 황산마을 태생으로 임진왜란 때 선조 임금을 등에 업고 의주로 피난을 하셨는데 선조께서 그 충성을 가상히 여겨 호성공신의 원종공신에 책록하시었으며 고종황제께서 1892년 좌승지에 추증하고 충신 정려를 내리셨습니다. 훗날 공께서 관직에서 물러나신 뒤 이곳에서 심신을 수련하시며 때때로 낚시를 즐기시던 곳입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공은 당시 성리학에 정통하여 사림의 추앙을 받던 충의지사로서 후손들이 충성심을 기리기 위하여 이곳에다 1890년경 정자를 세우고 공의 호를 따서 동호정이라 하였습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동호정은 아름다운수변 경관과 더불어 넓은 강폭에 펼쳐진 ‘차일암’은 보는 이의 마음에 시심을 일으키기에 부족함이 없어, 예로부터 이곳에서 많은 선비들이 풍류를 즐겼으며 도처로부터 찾는 이가 많은 곳입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함 양 군

이 장소를 Daum지도에서 확인해보세요.
경남 함양군 서하면 황산리 842 | 동호정
도움말
Daum 지도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이제 얼음도 녹아내리겠지요??ㅎㅎ
고드름 사진 정말 멋지네요
그러게요 봄기운이 느껴지네요
용추계곡의 고드름 사진이 정말 멋지네요
신기합니다 ㅎ
이제 서서히 저 얼음도 녹아내리는 계절이 찾아온듯 합니다.
저는 올 겨울은 고드름을 사진으로 처음 접하는듯 합니다. 눈이 많이 내린적이 없는 동네....ㅎㅎ
오랫만에 보는 고드름 모습입니다. 이제 곧 있으면 이런 모습들과도 작별을 고하겠죠^^
겨울에 이런데서 사진한방 찍으면 멋지겟어요.
어디 가는 것도 요즘은 어렵네요
추운날씨 덕분에 용추계곡의 폭포물이
이렇게 아름다운 고드름으로 변해버렸군요..
그래도 계절은 얼마지 않아 이런 고드름들을
녹여버릴것 같구요..
잘보고 갑니다..
얼음 밑에서 봄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