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전의 서쪽 즉, 가람의 중심에 대적광전이 자리한다. 대적광전은 연화장세계의 주인인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본존불로 모신 건물이다.
화엄종의 맥을 계승하는 사찰에서는 주로 이 전각을 본전으로 건립하며, 『화엄경』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하여 화엄전, 비로자나불을 봉안한다고 해서 비로전이라고도 부른다. 현재, 대적광전 건물은 앞면 7칸, 옆면 4칸의 다포식 팔작지붕으로 조선시대 건물이었으나, 1986년에 화재로 전소된 후, 1994년에 본래대로 복원하였다.
원래 대웅광명전(大雄光明殿) 또는 대법당이라고도 불렀다.<금산사 홈페이지에서 옮김>
금산사 대적광전은 정유재란 때 전소된 후, 1635년 수문대사에 의해 중창되었다고 전해진다.
이때 수문대사는 따로따로 모셔져 있던 비로자나불, 노사나불,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약사여래불과 여섯 보살을 함께 모심으로써, 대적광전 하나로 통합했다고 전한다.
지난 음력 4월 초파일인 12일, 불기 2563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금산사를 찾았다.
많은 불자들이 함께 했고, ‘부처님 오신 날 법요식’도 성대하게 열렸다.
이날 봉축법어는 조실스님인 태공 월주 대종사님이 집전하셨고, 주지 성우스님을 비롯한 많은 불자들이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마음愛 자비를! 세상 愛 평화를!’이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김제 금산사 조실스님인 태공 월주 대종사.
법요식을 마치고 기도하러 대적광전에 들러니 눈이 휘둥그레진다.
웅장한 법당 안에 불보살상이 많아서였다.
불보살상 앞에는 명호를 적은 명패가 있는데, 가운데는 연화장세계의 주인인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셨다.
불보살상의 순서는 불자가 법당 정면으로 바라볼 때 기준으로, 맨 좌측부터 우측으로, 대세지보살,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석가모니불, 보현보살, 비로자나불, 문수보살, 노사나불, 월광보살, 약사여래불, 일광보살 순이다.
그러니까 가운데 주불인 비로자나불을 포함하여 부처님은 다섯 분, 보살님은 여섯 분이 모셔져 있는 셈이다.
사찰에서는 대개 불보살님을 모시는 전각이 각기 따로 있다.
그런데 금산사 대적광전처럼 여러 불보살님을 한 자리에 모시는 사찰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앞서 언급한 수문대사의 깊은 뜻이 있지 않을까 추측해 본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정권에 따라 정책이 오락가락하면서 앞으로 나갈 기미가 좀처럼 보이지 않습니다.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