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군 강우량] 2020년 중부지방 장마기간 역대 최고 기록과 폭우 인명피해 올 장마는 역대 최장 기록을 세우며 끝났다.중부지방 장마는 지난 6월 24일부터 시작해 8월 16일까지 이어지면서 54일 동안 지속됐다.이는 2013년도 49일을 넘어서는 최장기간 장마 기록이다.장마기간이 끝난 일자를 기준으로 보면, 가장 늦게 끝난 해는 1987년 8월 10일보다 6일이나 더 늦게 끝난 셈이다. 제주의 장마기간은 지난 6월 10일부터 7월 28일까지로 49일을 기록했으며, 이는 1998년 47일 보다 2일이나 더 길다.또한 1973년 장마관련 통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긴 장마기간으로 기록됐다. 장마란, 정체전선의 영향을 받는 동안 내리는 비로, 장마가 끝났다는 것은 정체전선의 영향을 더 이상 받지 않을 때 당해 연도의 장마는 끝난다는 의미다.정체전선이란 성질이 다른 한랭기단과 온난기단의.. 더보기 [함양 산사태] 집 뒤 야산이 붕괴된 산사태, 재 발생 되지 않도록 철저하고도 완전한 복구 작업을 촉구한다 2020년 7월 24일 오전.장마기간 내린 폭우는 집 뒤 야산을 내려 앉혔다.산언덕이 무너지는 산사태가 발생한 것이다.산사태 규모는 크지 않지만 생명의 위협이나 재산피해가 충분히 예상되는 재해였다.이날 앞선 7월 20일부터 24일까지 내린 누적 강우량은 181mm로 땅은 많은 물을 머금고 있었던 것이다. 마을이장과 인근 지역에서 농사짓는 주민 그리고 산사태 발생의 주 원인으로 추정될 수 있는 산지전용 업주가 한 자리에 모여 현장을 살폈다.산사태가 발생한 곳은 산지전용으로 나무를 심기 위해 나무를 모두 베어낸 맨땅이 인접하고 있다.이곳에 내린 비는 큰 냇물을 이루어 고랑을 타고 산사태가 난 곳으로 흘러들었다.폭우로 인해 땅에 물을 머금어 지반이 연약해 진 탓도 있지만, 누가 봐도 많은 양의 빗물이 산사태 .. 더보기 [지리산 야생화] 6월~8월 지리산 노고단에서 자생하는 야생화 짚신나물, 짚신나무 꽃말은 감사 지리산 노고단 오르는 길에 만난 야생화 짚신나물입니다.짚신나물은 6월에서 8월에 걸쳐 피는 야생화로 풀밭과 길가에서 자라며, 키는 1m 정도까지 자라는 야생화입니다.봄철에 어린잎은 소금물에 살짝 데쳐 찬물에 담가 쓴 맛을 우려내고 나물로 무치거나 된장국을 해 먹기도 합니다.연한 잎은 튀김옷을 입혀 튀김을 해 먹어도 좋습니다.한방에서는 약재료 이용되고 잎과 줄기는 염료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짚신나물 꽃말은 '감사'라고 합니다.6월에서 8월에 걸쳐 풀밭이나 길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야생화 짚신나물.지난 8월 2일, 지리산 노고단 가는 길에서 만난 진노랑색 짚신나물 야생화입니다.짚신나물 꽃말처럼 항상 감사하며 살아야겠습니다. 더보기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1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