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야생화] 등골나물 종류 향등골나무와 골등골나무, 등골나무 꽃말은 주저 2020년 8월 2일, 지리산 노고단 길을 걸었습니다. 우거진 숲길은 더위를 식혀 주기엔 충분하고 힐링하기엔 최적의 조건입니다. 숲길 좌우측으로는 야생화가 천지에 만발하였습니다. 일반 가정집 정원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야생화는 나그네의 가는 발길을 멈추게 만듭니다. 일행은 저만치 앞서 가는데 야생화의 꼬임에 빠져 자리에서 일어나기 힘들었습니다. 야생화를 좋아한다지만 아직도 공부가 한참 멀었다는 생각입니다. 등골나물 종류 야생화를 만났습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등골나무 종류에는 대표적으로 등골나물, 향등골나물 그리고 골등골나물 등이 있으며, 이밖에도 외래종을 포함한 등골나물 종류는 많이 있습니다. 요즘은 인터넷으로 꽃이름을 검색하는 기능이 있어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럼에도 꽃 종류가 비슷비슷한 종류가.. 더보기 [함양시론] 하여, 서춘수 군수에게 묻습니다 올 여름 폭우는 엄청난 피해를 남겼다. 사망자는 20명이 넘고 실종자도 11명이다.(6일 기준) 이처럼 큰 인명피해는 함양지역도 예외는 아니었다. 지난 달 13일, 마을 대표로 공적인 임무를 다하던 중 이장과 주민 1명이 소중한 목숨을 잃었다. 폭우로 불어난 물에 의한 안타까운 사고였다. 장마기간 내리는 비는 재해를 예고하는 징후다. 시간 당 몇 십 밀리미터 쏟아지는 폭우는 인간에 대한 경고로 읽어야 한다. 그럼에도 이 같은 예고나 경고를 애써 외면하는 안일함은 큰 피해를 불러온다. 그리고는, 잊히고 또 다시 반복되는, 자연재해는 어김없이 되풀이되고 있다. 서춘수 군수는 취임 때부터 군민과의 소통을 강조하며 지금까지 실천해 오고 있다는 전언이다. 행정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는 인.. 더보기 [야생화] 지리산에서 만난 7~8월에 피는 야생화 물봉선화(물봉숭), 물봉선화 꽃말은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 지리산 노고단길에서 만난 야생화 물봉선화입니다. 물봉선화는 물을 좋아한다고 붙여진 이름으로 정식 이름은 물봉선이며, 물봉숭이라고도 합니다. 봉숭의 봉은 봉황이란 뜻으로, 봉황처럼 생겼다하여 봉선화라고 합니다. 실제 이 꽃을 자세히 보면 봉황의 머리를 쏙 빼 닮았다는 느낌이 듭니다. 봉선화라는 이름은 일제 강점기 때 홍난파가 노래를 만든 뒤 생겨난 명칭으로, 본래 우리말은 봉숭아가 맞다는 것입니다. 7월에서 8월에 걸쳐 피는 물봉선화 꽃말은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라고 합니다. 어찌 꽃말이 좀 무시무시합니다. 봉황을 닮았다고 위엄을 갖추는가 싶기도 합니다. 2020년 8월 2일, 지리산 노고단길에서 만난 물봉선화. 꽃말처럼 물봉선화를 건드지지 않고 구경만 하다 돌아 왔습니다. 더보기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1188 다음